가을이 오는 소리 입추(立秋)
가을이 오는 소리 입추 (立秋)
[출처 - 국립민속박물관]
입추는 한자 그대로 가을의 입구에 와 있다는 뜻이며 체감상 아직 덥고 당분간 더위가 계속되긴 하지만 아침 공기가 달라진걸 느낄 수 있다.
입추는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에 들어 있으며,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후이다.
이날부터 입동(立冬) 전까지를 가을이라고 한다. 24절기중의 하나이며 양력 8월 8일경.
절기하면 대게 음력일거라 생각하는데 양력으로 되어있다.
관련 속담으로는 " 입추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 "- 벼가 한창 자랄때라 벼 자라는 소리도 들릴정도 라는 것.
시원해진 공기를 느낄려면 처서가 와야한다. 처서가 되면 아침공기에서 가을냄새가 난다.
언제 더웠나싶게 아침저녁으로서는 선선하고 낮은 덥다
절기라는게 참 신기하다.
입추 무렵은 벼가 한창 익어가는 때여서 맑은 날씨가 계속되어야 한다.
조선 시대에는 입추가 지나서 비가 닷새 이상 계속되면 조정이나 각 고을에서는 비를 멎게 해달라는 기청제(祈晴祭)를 올렸다 한다.
입추는 곡식이 여무는 시기이므로 이날 날씨를 보고 점친다. 입추에 하늘이 청명하면 만곡(萬穀)이 풍년이라고 여기고,
이날 비가 조금만 내리면 길하고 많이 내리면 벼가 상한다고 여긴다. 또한 천둥이 치면 벼의 수확량이 적고 지진이 있으면
다음해 봄에 소와 염소가 죽는다고 점친다.
입추가 지난 뒤에는 어쩌다 늦더위가 있기도 하지만 밤에는 서늘한 바람이 불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때부터 가을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 특히 이때에 김장용 무와 배추를 심어 김장에 대비한다. 이 무렵에는 김매기도 끝나가고 농촌도 한가해지기
시작한다. 그래서 “어정 7월 건들 8월”이라는 말이 거의 전국적으로 전해진다. 이 말은 5월이 모내기와 보리 수확으로
매우 바쁜 달임을 표현하는 “발등에 오줌 싼다.”와 좋은 대조를 이루는 말이다.
유난히 더웠던 이번여름..비가 적절하게 와주어야 농작물이 타들어가지 않고 잘되는데. 부모님들 걱정 한시름 놓게
추수전까지 비가 골고루 왔으면 좋겠다.